미국주식

애플, 2026년까지 미국 판매 아이폰 전량 인도 생산 계획 발표

stock-live 2025. 4. 26. 12:00
애플, 2026년까지 미국 판매 아이폰 전량 인도 생산 계획 발표

 

애플이 2026년 말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아이폰을 인도에서 생산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미중 갈등 심화와 트럼프 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글로벌 생산 체계의 대대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미국향 아이폰, 전량 인도 생산으로 전환

24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인도 내 아이폰 생산량을 현재 대비 두 배로 늘려 연간 약 6480만대 수준의 생산 능력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이는 애플의 글로벌 아이폰 출하량(약 2억3210만대)의 약 28%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 전량을 인도에서 조달하겠다는 의미입니다.

 

타타 일렉트로닉스폭스콘 등 인도 내 주요 생산 파트너와의 협력을 강화해 생산 라인 확충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이미 인도는 애플의 핵심 제조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아이폰16 프로
아이폰16 프로

미중 갈등 속 '리스크 분산'이 핵심 전략

20년 이상 중국에 막대한 생산 투자를 해온 애플은 그동안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145% 상호관세 부과 조치가 현실화되면서, 스마트폰을 포함한 중국산 제품에 20% 기본 관세가 적용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비록 현재 스마트폰 관세는 일시 유예됐지만,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이 남아있어 애플 입장에서는 '차이나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애플은 인도 생산 비중을 공격적으로 확대하며 글로벌 생산망 다변화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인도 역시 26% 상호관세를 부과받았지만, 현재 90일 유예기간 적용과 양자 무역협정 협상을 통해 관세 철폐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어, 애플 입장에서는 인도가 매우 유리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애플 로고
애플 로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시장 영향은?

애플의 이번 전략은 단순한 생산 기지 이동을 넘어,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화를 의미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중국 내 생산 비중 감소 → 중국 내 부품사·조립공장 매출 타격
  • 인도 제조 생태계 급성장 → 고용 창출 및 기술 인프라 투자 확대
  • 글로벌 전자 부품 공급망 재구성 → 서플라이 체인 다변화 필요성 증가

또한, 칩 제조업체, 부품 공급사 등 2차 공급망 전반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투자자 반응: 긍정과 우려 교차

애플의 빠른 대응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애플 목표주가를 250달러 → 240달러로 하향조정하면서도, 여전히 '매수'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AI 기반 시리 출시 지연으로 인한 단기 실적 부담
  • 관세로 인한 생산 비용 상승 우려
  • 그러나 생산 다변화 및 공급망 리스크 최소화에 대한 긍정적 평가

특히, 인공지능(AI) 및 자율주행 기술 등 차세대 성장동력에 대한 투자 지속 여부가 향후 애플 주가 향방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폰16
아이폰16

결론: 빠른 대처 능력, 애플의 최대 강점

애플은 다시 한번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빠른 대처 능력을 시장에 입증하고 있습니다. 미중 갈등이라는 초대형 리스크 속에서도 생산 거점을 신속히 인도로 옮기고, 관세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펼치는 모습은 글로벌 기업 경영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니엘 뉴먼 퓨처럼 그룹 CEO는 "이러한 빠른 대응 능력이 애플의 성장 모멘텀을 지켜줄 것"이라고 평가했듯, 앞으로 애플은 미중 무역 전쟁이라는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애플은 오는 5월 1일 1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관세 정책의 영향과 생산 전략 전환의 효과를 본격적으로 공개할 예정입니다. 투자자들은 이번 실적 발표를 통해 애플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위기를 관리하고 있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