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이익 7조 원 돌파…AI 수요에 힘입은 사상 최대 실적
SK하이닉스(000660)가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7조 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전망입니다.
이는 금융투자업계 컨센서스(6.6조 원)를 크게 뛰어넘는 수치로, 같은 분기 삼성전자 전체 영업이익(6.6조 원)을 앞지르는 이례적인 성과입니다.
SK하이닉스의 ‘어닝 서프라이즈’는 HBM3E 메모리의 수요 폭발과 5세대(1b) D램 생산 확대 전략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고성능 AI 반도체 수요가 폭증하면서, SK하이닉스는 HBM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과 생산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 매출: 약 17조 원
- 영업이익: 7조 원 초과 (전년 동기 대비 +140%)
- 영업이익률: 약 41% 이상으로 추정
- 2024년 1분기 대비 실적 증가폭:
- 매출 +40%
- 영업이익 +140% 이상
이는 SK하이닉스 창사 이래 1분기 최대 실적이자, 2018년 4조 3,673억 원의 기록을 훌쩍 넘어서는 수준입니다.
HBM3E, SK하이닉스 수익성 견인
실적을 이끈 핵심 제품은 단연 HBM(High Bandwidth Memory)입니다.
- HBM3E: 5세대 10나노급 D램 기반 고성능 메모리
- 용도: 엔비디아 AI GPU, 클라우드 서버 등
- 특징: 초고속·고대역폭·저전력
SK하이닉스는 현재 HBM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기록하고 있으며, AI 산업 확산에 따른 수요 급증 속에서 공급 부족 현상까지 겹치며 실적이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특히, HBM3E는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독점 수준으로 공급 중인 핵심 제품으로,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풀가동 체제를 유지 중입니다.
5세대 D램 생산 능력 40% 이상 증설
SK하이닉스는 HBM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10나노급 5세대(1b) D램 생산능력을 기존보다 40% 확대할 계획입니다.
- 기존 계획: 월 11만 장
- 수정 계획: 월 15만~16만 장
- 2025년 말까지 목표: 월 25만 장 (전체 D램 생산량의 절반)
이천 M16과 청주 M15X 라인을 중심으로 증설이 진행 중이며, 이러한 대규모 투자로 글로벌 메모리 경쟁에서 초격차를 더욱 공고히 할 전망입니다.
6세대(1c) D램 투자 속도는 조정
6세대(1c) D램 투자 속도는 조정
반면, 10나노급 6세대 D램 투자 일정은 다소 늦춰질 예정입니다.
- 기존 계획: 2025년 3분기부터 투자
- 변경 검토안: 2026년 1분기 이후로 연기
이는 HBM3E와 향후 HBM4에 활용되는 5세대 D램의 수요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며, 현재로선 6세대 전환보다 안정적 수익 창출이 우선이라는 전략적 판단으로 해석됩니다.
삼성전자와의 경쟁 구도는?
SK하이닉스의 이번 실적은 삼성전자 전체 실적(6.6조 원)을 초과한 수준으로, 메모리 부문에서의 우위를 시장에 강하게 각인시킨 결과입니다.
삼성전자의 D램 부문 추정 영업이익이 3.5조 원 안팎인 가운데, SK하이닉스는 단일 사업으로도 이를 크게 상회하는 성과를 보이며2025년 메모리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한 모습입니다.
향후 전망 및 투자 포인트
전문가들은 SK하이닉스가 연말까지도 호실적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으며, AI 반도체 시대의 핵심 공급사로서 기업가치 재평가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차, 1분기 매출 44.4조로 사상 최대…트럼프 관세 리스크 부상 (1) | 2025.04.25 |
---|---|
한화솔루션, 1분기 영업이익 303억 원…신재생에너지 부문 실적 견인 (1) | 2025.04.24 |
금값 3,400달러 돌파! 지금 투자할 수 있는 국내 금 ETF 총정리 (0) | 2025.04.22 |
신라젠, 항암제 BAL0891 혈액암 임상 확대…FDA 승인 획득 (0) | 2025.04.21 |
MSCI 5월 정기변경 임박… 삼양식품·한화시스템 편입 기대, 투자 전략은? (0) | 2025.04.20 |